DevGang

[DB-08] 논리적 데이터 모델 본문

정보처리/DB

[DB-08] 논리적 데이터 모델

별천랑 2021. 1. 29. 19:06

1. 논리적 데이터 모델의 정의

  • 필드로 기술된 데이터 타입과 이 데이터 타입들 간의 관계를 이용하여 현실 세계를 표현하는 방법
  • 관계의 표현 방법으로 관계 데이터 모델, 계층 데이터 모델,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 등으로 구분됨

2. 관계형 데이터 모델

  • 데이터베이스를 테이블(릴레이션)의 집합으로 표현 > 개체와 관계 모두 테이블로 표현
  • 사용자 파일의 레코드들 사이의 논리적인 관계를 2차원의 테이블 집합으로 나타낸 구조

3. 계층형 데이터 모델

  • 개체 집합에 대한 속성 관계를 표시하기 위해 개체를 노드로 표현, 개체 집합들 사이의 관계를 링크로 연결한 형태

- 계층형 모델의 특징

  • 데이터 구조도가 부자관계(parent-child relationshop)를 나타내는 트리(tree) 형태의 자료 구조
  • 하나의 루트 레코드 타입과 다수의 종속 레코드 타입으로 구성된 순서 트리
  • 부모 레코드가 되지 못한 레코드 타입은 계층 정의 트리의 단말 노드임
  • 두 레코드 타입 간에는 하나의 관계만 허용됨

4. 네트워크(망) 형 데이터 모델

- 네트워크 모델의 특징

  •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 표현을 그래프 형태로 표현
  • 일대다(1:N) 관계에 연관된 레코드 타입들을 각각 오너(owner), 멤버(member)라고 하고, 이들의 관계를 오너-멤버 관계라고도 일컫는 데이터 모델
  • CODASYL DBTG 모델이라고도 함
  • 상위 하나의 레코드에 대하여 하위의 레코드가 복수 대응하고, 하위 하나의 레코드에 대해 상위 레코드도 복수 대응

-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과 계층 데이터 모델의 공통적인 속성

  • 개체의 표현 방법
  • 다대다 관계의 직접 표현 불가

5. 객체지향 데이터 모델

  • 데이터베이스를 객체/상속 구조로 표현
  • 캡슐화(Capsulation), 상속(Inheritance), 다형성(Polymorphism)의 개념을 가지는 데이터 모델

 

'정보처리 >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10] 정보의 표현 단위  (0) 2021.01.30
[DB-09] 정규화(Normalization)  (0) 2021.01.30
[DB-07] 개체-관계(E-R) 모델  (0) 2021.01.29
[DB-06] 데이터 모델링  (0) 2021.01.29
[DB-05] DBA  (0) 2021.01.29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