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Gang
[Spring] AOP(Aspect-oriented programming) 본문
AOP(Aspect-oriented programming)
Spring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DI가 애플리케이션 모듈들 간의 결합도를 낮춰준다면, AOP는 애플리케이션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기능을 재사용하도록 지원하는 것입니다.
AOP는 Aspect Oriented Programming의 약자로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이라고 불린다. 관점 지향은 쉽게 말해 어떤 로직을 기준으로 핵심적인 관점, 부가적인 관점으로 나누어서 보고 그 관점을 기준으로 각각 모듈화 하여 재사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모듈화란 어떤 공통된 로직이나 기능을 하나의 단위로 묶는 것을 말한다.
예로 들어 핵심적인 관점은 결국 우리가 적용하고자 하는 핵심 비즈니스 로직이 된다. 또한 부가적인 관점은 핵심 로직을 실행하기 위해서 행해지는 데이터베이스 연결, 로깅, 트랜잭션 처리, 성능 검사, 파일 입출력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AOP에서 각 관점을 기준으로 로직을 모듈화 한다는 것은 코드들을 부분적으로 나누어서 모듈화 하겠다는 의미다. 이때, 소스 코드상에서 다른 부분에 계속 반복해서 쓰는 코드들을 발견할 수 있는 데 이것을 흩어진 관심사 (Crosscutting Concerns)라 부른다. 핵심 로직은 Core Concern이라 부른다.
위와 같이 흩어진 관심사를 Aspect로 모듈화하고 핵심적인 비즈니스 로직에서 분리하여 재사용하겠다는 것이 AOP의 취지다.
AOP 장점
- 애플리케이션 전체에 흩어진 공통 기능이 하나의 장소에서 관리된다.
- 다른 서비스 모듈들이 본인의 목적에만 집중한다.
- 중복 코드를 제거하여 유지보수를 쉽게 한다.
AOP 용어
- advice - 어떤 부가기능을 언제 사용할지에 대한 정의
- advice 종류
- @Before - 메서드가 실행되기 전에 사용되는 advice
- @AfterReturning - 메서드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었을 때 사용되는 advice
- @AfterThrowing - 메서드가 예외를 발생시키는 경우 사용되는 advice
- @After - AfterReturing + AfterThrwoing
- @Around - 비즈니스 로직 전후에 사용되는 advice
- Join Point - Advice가 적용될 수 있는 위치
- Point cut - Advice를 적용할 JoinPoint를 선별하는 작업
- Target - 부가 기능이 적용될 대상
출처: https://engkimbs.tistory.com/746 [새로비]
'Study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rvlet] 서블릿 (0) | 2021.07.14 |
---|---|
[Spring] DispatcherServlet (0) | 2021.06.02 |
[Servlet&Jsp] MVC model1 vs model2 (0) | 2021.05.10 |
[Servlet&Jsp] Application/Session/Cookie (0) | 2021.05.10 |
[Spring] Spring boot (0) | 2021.02.16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