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Gang

[DB-21] 분산 데이터베이스 본문

정보처리/DB

[DB-21] 분산 데이터베이스

별천랑 2021. 1. 30. 21:29

1. 분산 데이터베이스 정의

  • 동질 분산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과 이질 분산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음
  • 수평분할은 전역 테이블을 구성하는 튜플들을 부분집합으로 분할하는 방법을 말함
  • 데이터의 처리나 이용이 많은 지역에 데이터베이스를 위치시킴으로써 데이터의 처리가 가능한 해당 지역에서 해결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2.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구성 요소

  • 분산 처리기 : 자체적 처리능력을 지닌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컴퓨터 시스템
  • 분산 데이터베이스 :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해당 지역의 특성에 맞게 구성
  • 통신 네트워크 : 분산 처리기를 통신망으로 연결하여 논리적으로 하나의 시스템이 되도록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3.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목표

  • 위치 투명성 : 데이터가 물리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곳을 알 필요 없이 논리적인 입장에서 데이터가 모두 자신의 사이트에 있는 것처럼 처리하는 특성
  • 중복 투명성 (replication transparency) : 트랜잭션이 데이터의 중복 개수나 중복 사실을 모르고도 데이터 처리가 가능함
  • 병행 투명성 (concurrency transparency) : 분산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다수의 트랜잭션들이 동시에 실현되더라도 그 트랜잭션의 결과는 영향을 안 받음
  • 장애 투명성 (failure transparency) : 트랜잭션, DBMS, 네트워크, 컴퓨터 장애에도 불구하고 트랜잭션을 정확하게 처리함

4.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장점

  • 지역 자치성이 높음
  • 효용성과 융통성이 높음
  • 점진적 시스템 용량 확장이 용이
  • 신뢰성과 가용성이 높음
  • 특정한 사이트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사이트는 계속 운영할 수 있음
  • 데이터의 공유성 향상
  • 질의 처리 시간의 단축
  • 분산제어가 가능하고 시스템의 성능이 향상

5.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단점

  • 중앙 집중 시스템보다 구현하는데 복잡하고 처리 비용이 증가
  • 자료의 중앙 통제 시 저장된 자료의 일관성 유지가 용이

6. 미들웨어 (middle-ware)

  • 복잡한 이기종 환경에서 응용 프로그램과 운영환경 간에 원만한 통신을 이룰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
  • 서로 다른 기종 간의 서버와 클라이언트들을 연결해주는 소프트웨어
  • ODBC : 분산 환경에서 서로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미들웨어

7. 분산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 고려사항

  • 작업 부하(Work Load)의 노드별 분산 정책
  • 지역의 자치성 보장 정책
  • 데이터의 일관성 정책

8. 분산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선정 시 조건

  • 고성능의 주기억장치와 빠른 입/출력 연산 등이 수행될 수 있는 기능이 지원되어야 함
  •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지원되어야 함
  • 대용량의 자료를 저장, 탐색할 수 있으며 분산 데이터 관리가 지원되어야 함

'정보처리 >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23] 자료구조 - 리스트(List)  (0) 2021.01.30
[DB-22] 자료구조  (0) 2021.01.30
[DB-20] 데이터베이스 제어  (0) 2021.01.30
[DB-19] 트랜잭션  (0) 2021.01.30
[DB-18] 뷰 (VIEW)  (0) 2021.01.3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