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Gang

[DB-04] 스키마 본문

정보처리/DB

[DB-04] 스키마

별천랑 2021. 1. 29. 18:15

1. 스키마의 정의

  •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데이터 객체, 이들의 성질, 이들 간에 존재하는 관계 그리고 데이터의 조작 또는 이들 데이터 값들이 갖는 제약조건에 관한 정의를 총칭하는 용어
  •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 조건에 대한 명세(spcification)를 기술한 것
  • 현실세계의 특정한 한 부분의 표현으로서 특정 데이터 모델을 이용하여 만듦
  • 시간에 따라 불변
  • 스키마는 데이터의 구조적 특성을 의미하여 인스턴스에 의해 규정됨

2. 스키마의 특징

  • 데이터 사전(Data Dictionary)에 저장됨
  • 다른 이름으로 메타데이터(Meta-data)라고도 함
  • 데이터베이스의 구조(객체, 속성, 관계)에 대한 정의

3. 스키마의 3 계층

스키마의 3계층

- 외부 스키마 (external schema)

  •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한 논리적인 부분으로 서브 스키마(subschema)라고도 함
  • 공용의 의미보다는 어느 개인이나 특정 응용에 한정된 논리적 데이터 구조
  • 데이터베이스의 개별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래머가 접근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정의

- 개념 스키마 (conceptual schema)

  • 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적인 논리적 설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데이터 객체, 성질, 관계, 제약조건에 관한 것 (개체 간의 관계와 유지해야 할 제약 조건을 나타냄)
  • 데이터베이스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레코드와 데이터 항목의 이름을 부여하고 그들 사이에 관계의 구조를 나타내는 스키마
  • 단순 스키마라고도 함
  • 저장된 데이터와 그들 간의 관계를 기술
  • 범기관적 입장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정의한 것
  • 모든 응용시스템과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통합한 조직 전체의 데이터베이스로 하나만 존재
  • 데이터베이스 접근권한, 보안정책, 무결성 규칙을 명세화

- 내부 스키마 (internal schema)

  • 데이터의 실제 저장 방법을 기술
  •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저장 구조를 설명한 것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조에서, 내부 스키마는 실제로 데이터가 저장되는 방법과 관련된다.

'정보처리 >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06] 데이터 모델링  (0) 2021.01.29
[DB-05] DBA  (0) 2021.01.29
[DB-03] DBMS  (0) 2021.01.29
[DB-02] 데이터베이스  (0) 2021.01.29
[DB-01] 정보처리 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  (0) 2021.01.29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