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Gang
[CA-11] 주소 지정방식 본문
1. 주소 지정방식(Addressing Mode)
-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동안 사용될 데이터의 위치를 지정하는 방법
- 설계 시 고려사항 : 표현의 효율성, 사용의 편리성, 주소 공간과 기억공간의 독립성
- 암시적(묵시적) 주소 지정 방식(Implied Addressing Mode)
- 주소를 지정하는 필드가 없는 0번지 명령어에서 Stack의 Top 포인터가 가리키는 Operand를 암시하여 이용함.
- 즉시적 주소 지정 방식(Immediate Addressing Mode)
- Operand 부분에 데이터를 기억하는 방식, 기억장치를 접근하지 않음.
- 직접 주소 지정 방식(Indirect Addressing Model)
- 명령어 주소 부분에 유효 주소 데이터가 있음, 데이터 값 범위가 제한적.
- 간접 주소 지정 방식(Indirect Addressing Mode)
- 명령문 내의 번지는 실제 데이터의 위치를 찾을 수 있는 번지가 들어 있는 장소를 표시
- 계산에 의한 주소 지정 방식
- Operand 부와 CPU의 특정 레지스터의 값이 더해져서 유효 주소를 계산
- 리엔트란시(Re-entrancy)
- 한 사람 이상의 사용자들이 동일한 명령어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도록 제공
- 인덱스 레지스터와 간접 번지 방법으로 이용
'정보처리 > CA'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13] 명령 실행과 제어 (0) | 2021.02.06 |
---|---|
[CA-12] 연산(Operation) (0) | 2021.02.06 |
[CA-10] 기타 요약정리 (0) | 2021.02.06 |
[CA-09] 명령어 (Instruction) (0) | 2021.02.06 |
[CA-08] 컴퓨터의 구성 (0) | 2021.02.06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