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처리/DB (31)
DevGan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ULvr/btqTDdmcifP/yJiDLIkrFAoNgC8b8S2v71/img.png)
1. 데이터베이스 설계 과정 2. 개념적 설계 산출물로 ER-다이어그램이 만들어짐 DBMS에 독립적인 개념 스키마를 설계 요구분석 단계에서 나온 결과(명세)를 E-R 다이어그램과 같은 DBMS에 독립적이고 고차원적인 표현기법으로 기술하는 것 논리적 설계 단계의 앞 단계에서 수행 트랜잭션 모델링 3. 논리적 설계 DBMS에 따라 서로 다른 논리적 스키마를 정의 현실 세계를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 즉 정규화 과정을 이용한 릴레이션의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 -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되는 작업 논리적 데이터 모델로 변환 트랜잭션 인터페이스 설계 스키마의 평가 및 정제 4. 물리적 설계 - 목표 DBMS에 맞는 물리적 구조 설계 기본적인 데이터 단위는 저장 레코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성능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uO0cz/btqTvR4K7ZP/pkCwwA1kbpKFyLxRPJKjq0/img.png)
8bit = 1byte 4bit = nibble Half Word = 2byte Full Word = 4byte Double Word = 8byte 논리 Record = Record 물리 Record = block KB < MB < GB < TB 2^10 / 2^20 / 2^30 / 2^40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DlrlV/btqTAEpKlLI/pNXjxYYfaXeGBk4UnPVxpK/img.png)
1. 이상 (anomaly) - 이상의 정의 관계 모델에서는 속성들 간에 존재하는 여러 종속관계를 하나의 릴레이션에 표현하기 때문에 릴레이션 조작 시 이상 발생 데이터의 중복으로 인하여 관계 연산을 처리하기 곤란한 현상 - 이상의 종류 삽입 이상 - 데이터를 삽입할 때 불필요한 데이터가 함께 삽입되는 현상 삭제 이상 - 한 튜플을 삭제함으로써 연쇄 삭제 현상으로 인한 정보의 손실 갱신 이상 - 튜플에 있는 속성 값을 경신할 때 일부 튜플의 정보만 갱신되어 정보에 모순이 발생 2. 정규화 현실 세계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관계 스키마를 설계하는 작업으로 개체, 속성, 관계성들로 릴레이션을 만드는 과정에 관한 것 정규화되지 못한 릴레이션의 조작 시 발생하는 이상 현상의 근본적인 원인은 여러 가지 종류의 사실들이..
1. 논리적 데이터 모델의 정의 필드로 기술된 데이터 타입과 이 데이터 타입들 간의 관계를 이용하여 현실 세계를 표현하는 방법 관계의 표현 방법으로 관계 데이터 모델, 계층 데이터 모델,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 등으로 구분됨 2. 관계형 데이터 모델 데이터베이스를 테이블(릴레이션)의 집합으로 표현 > 개체와 관계 모두 테이블로 표현 사용자 파일의 레코드들 사이의 논리적인 관계를 2차원의 테이블 집합으로 나타낸 구조 3. 계층형 데이터 모델 개체 집합에 대한 속성 관계를 표시하기 위해 개체를 노드로 표현, 개체 집합들 사이의 관계를 링크로 연결한 형태 - 계층형 모델의 특징 데이터 구조도가 부자관계(parent-child relationshop)를 나타내는 트리(tree) 형태의 자료 구조 하나의 루트 레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ynTO/btqTDIryeVO/GxpbSDka6EsMpqSjAcMPmk/img.png)
1. E-R 모델의 특성 E-R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하며 P.Chen이 제안 개체 타입과 이들 간의 관계 타입을 이용해 현실 세계를 개념적으로 표현한 방법 E-R 다이어그램은 E-R 모델을 그래프 방식으로 표현한 것 데이터를 엔티티, 관계, 속성으로 묘사함 개념적 설계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모델 최초에는 entity, relationship, attribute와 같은 개념들로 구성되었으나 나중에 일반화 계층 같은 복잡한 개념들이 첨가되어 확장된 모델로 발전 정보 모델링 과정에서 개념 세계의 정보구조로 표현하기 위한 규약 각 개체 집합은 여러 개의 속성으로 표현되며, 각 속성은 현실 세계의 객체들이 갖는 특성 관계 타입(relationship type)의 차원 - 관계 타입과 관련된 개체 타입의 개수 2.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3TTfx/btqTDcGpdTv/QKVSlKs4KgRpepDd0304m1/img.png)
1. 정보 모델링 (information modeling)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개체를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정보 구조(현실 세계에 대한 인식을 추상적 개념으로 표현)로 표현하는 과정 정보 모델링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정보 구조화라 함 정보 구조를 구성하는 추상적 개념은 현실 세계의 객체에서 추상화된 개체(entity) 집합 2. 데이터 모델링 (data modeling)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개체를 컴퓨터 세계의 데이터 구조로 기술하는 것 데이터 모델링의 과정 : 개체 정의 > 식별자 정의 > 상세화 > 통합 > 검증 3. 데이터 모델의 개념 현실 세계를 데이터베이스에 표현하는 중간 과정, 즉 데이터베이스 설계과정에서 데이터의 구조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 현실 세계의 데이터 구조를 컴퓨터 세계..
1. DBA(DataBase Administrator) 정의 데이터베이스의 설계와 운영의 책임이 있고, DBMS의 선택과 평가 그리고 실행의 책임을 지는 사람 DBMS를 사용하는 주요한 목적 중의 하나는 데이터와 그 데이터에 접근하는 프로그램 모두를 중앙 통제하기 위함이다. 시스템의 그러한 중앙 통제권이 있는 사람을 DBA라 한다. 만약 응용 프로그래머가 새로운 타입의 레코드를 만들기를 원하거나 기존 레코드에 새로운 데이터 항목을 포함 또는 크기를 확장함으로써 수정하기 원하면, 그는 DBA의 허락을 구해야 한다. 2. DBA의 기능 -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운영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를 정의 보안 검사와 무결성 검사 정의 예비조치(backup)와 회복(recovery) 정의 접근 권한에 대한 전략 정의 데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sSNW/btqTvR4C5Jm/Akp1YNKkfFkskHHjnlotS1/img.png)
1. 스키마의 정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데이터 객체, 이들의 성질, 이들 간에 존재하는 관계 그리고 데이터의 조작 또는 이들 데이터 값들이 갖는 제약조건에 관한 정의를 총칭하는 용어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 조건에 대한 명세(spcification)를 기술한 것 현실세계의 특정한 한 부분의 표현으로서 특정 데이터 모델을 이용하여 만듦 시간에 따라 불변 스키마는 데이터의 구조적 특성을 의미하여 인스턴스에 의해 규정됨 2. 스키마의 특징 데이터 사전(Data Dictionary)에 저장됨 다른 이름으로 메타데이터(Meta-data)라고도 함 데이터베이스의 구조(객체, 속성, 관계)에 대한 정의 3. 스키마의 3 계층 - 외부 스키마 (external schema)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한 논리적인 부분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iccw/btqU93aAs3U/tlLJoOrgljDHWcKyNJhXDK/img.png)
1.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정의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검색 프로그램과 저장소의 집합 사용자의 질의에 해당하는 자료들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구성, 처리 과정을 거쳐 사용자에게 제공 종속성과 중복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의 중재자로서 모든 응용 프로그램들이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할 수 있도록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구성, 접근방법, 관리 유지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짐 2. DBMS의 장점 표준화의 범기관적 시행 데이터의 보안 보장이 용이 데이터 무결성 및 일관성 용이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할 수 있음 3. DBMS의 필수 기능 (정, 조, 제) - 정의 기능 (Definition Facility) 데이터의 형, 구조,..
1. 데이터베이스의 등장 배경 여러 사용자가 데이터를 공유해야 할 필요가 생김 데이터의 수시적인 구조 변경에 대해 응용 프로그램을 매번 수정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고 싶음 물리적인 주소가 아닌 데이터 값에 의한 검색을 수행하고 싶음 2.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통합된 데이터(Integrated Data) - 자료 중복 배제 저장된 데이터(Stored Data) - 컴퓨터가 접근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운영 데이터(Operational Data) - 존재 목적이나 유용성 면에서 필수적인 데이터 공용 데이터(Shared Data) - 여러 응용 시스템이 공용으로 소유 및 유지 3. 데이터베이스의 특성 실시간 접근성(real-time accessibility) 동시 공유(concurrent shar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