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63)
DevGan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ej9q/btqTJmpGUhi/9e3bANoscE30Tde7NQIkG1/img.png)
1. 논리 연산 연산의 대상 및 결과가 ‘0’또는 ‘1’중 하나의 값을 취하는 연산(비수치적인 연산) 예> MOVE, NOT, AND, OR, 논리 SHIFT, ROTATE, COMPLEMENT, EXCLUSIVE OR 등 2. 산술 연산 연산의 대상을 수치 데이터로 간주하고 행하는 연산(수치적 연산) 예> ADD, SUBTRACT, MULTIPLY, DIVIDE, 산술 SHIFT 등 3. 주요 연산 및 기능 AND(Masking Operation) : 마스크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 OR(Selective-Set) : 두 개의 데이터를 섞거나 일부에 삽입 XOR(Compare) : 자료의 특정 비트를 반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 NOT(Complement) : 각 비트의 값을 반전시키는 연산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as4y8/btqTKMg8MDk/PuAepNYe1c01kOSxwtS0AK/img.png)
1. 주소 지정방식(Addressing Mode)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동안 사용될 데이터의 위치를 지정하는 방법 설계 시 고려사항 : 표현의 효율성, 사용의 편리성, 주소 공간과 기억공간의 독립성 - 암시적(묵시적) 주소 지정 방식(Implied Addressing Mode) 주소를 지정하는 필드가 없는 0번지 명령어에서 Stack의 Top 포인터가 가리키는 Operand를 암시하여 이용함. - 즉시적 주소 지정 방식(Immediate Addressing Mode) Operand 부분에 데이터를 기억하는 방식, 기억장치를 접근하지 않음. - 직접 주소 지정 방식(Indirect Addressing Model) 명령어 주소 부분에 유효 주소 데이터가 있음, 데이터 값 범위가 제한적. - 간접 주소 지정 방..
1. 단항 연산자와 이항 연산자 단항 연산자(Unary Operator) : 피 연산자가 1개만 필요 / NOT, Complement, Shift, Rotate, MOVE 등 이항 연산자(Binary Operator) : 피 연산자가 2개 필요 / 사칙연산, AND, OR, XOR, XNOR 등 2. 스택(Stack) 자료의 삽입(Push), 삭제(Pop)가 한쪽에서 가능한 자료구조, LIFO 구조 0 주소 명령어 형식뿐 아니라 부 프로그램(서브루틴) 호출 시 복귀 주소 저장, 인터럽트 발생 시 복귀 주소 저장, 재귀(Recursive) 프로그램의 순서 제어, 역 polish 형 산술식의 처리 등에 쓰임 0-주소 명령형을 갖는 컴퓨터 구조의 원리로 스택 머신(Stack Machine)이라고도 함 3. 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fkD6/btqTPyh5Zoo/TnEuIL8YLcwrXxkVLVSKzk/img.png)
1. 명령어(Instruction)의 구성 연산자 부(Op-Code, Operation Code 부) = 실행할 명령이 들어 있음, 연산자 부의 비트수가 n Bit 일 때 2의 n승 개의 명령어(연산자) 수행 가능 자료부(어드레스 필드, 주소부) = 실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 어드레스 필드의 크기 = 최대 메모리 용량 OP-Code 6bit이고 어드레스 필드 16bit 일 때, 최대 메모리 용량은? 64K Word (2의 16승 = 65536 = 64K 2. 연산자(OP-Code, Operation Code)의 기능 - 함수 연산 기능 중앙처리장치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 산술, 논리 연산 명령(ADD, AND, CPA, CPC, CLC, ROR, ROL 등) - 자료 전달 기능 중앙처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izjz/btqTV8QE3wh/lUyaBpWSbxrONj2bdZxrDK/img.png)
1. 컴퓨터의 구성 2.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구성 및 기능 : 제어 기능, 연산 기능, 기억 기능, 전달 기능(버스) 3. 제어장치 주기억장치에 기억된 명령을 꺼내서 해독하고, 시스템 전체에 지시 신호를 내는 장치 명령 코드가 명령을 수행할 수 있게 필요한 제어 기능을 제공 제어장치의 구성 - 프로그램 카운터, 명령어 레지스터, 부호기, 명령 해독기, 순서기, 주소 처리기 4. 연산장치 제어장치의 명령에 따라 실제로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 산술 연산, 논리 연산, 관계 연산, 이동(Shift)등을 수행 연산장치의 종류 - 가산기, 누산기, 보수기, 데이터 레지스터, 오버플로우 검출기, 시프트 레지스터 5. 레지스터 중앙처리장치 내부에서 처리할 명령어나 연산의 중..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1FTs/btqTSUrCeUH/xDsOKTECK9nIxD9f9PuQGK/img.png)
1. ASCII 코드(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IBM사에서 개발, 데이터 통신 및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많이 채택됨 7BIT 코드로 128개의 문자를 표현 2. BCD 코드(Binary Coded Decimal, 2 진화 10진 코드) 10진수 1자리의 수를 2진수 4bit로 표현 8421 코드라고도 함 대표적 가중치 코드(Weight Code) 10진수 입, 출력이 간편 자체 보수화는 불가능 3. EBCDIC(Extended BCD Interchange Code, 확장 2 진화 10진 코드) 8개 비트(4개의 ZONE BIT + 4개의 DIGIT BIT)와 1개의 패리티 비트로 구성됨 IBM사에서 개발한 것으로 대형 컴퓨터용으로 쓰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4A7r/btqTSUrB1eP/XHkZurXdLDo3pOk6Iv5iBK/img.png)
1. 자료의 내부적 표현 2. 고정소수점 – 10진 연산의 표현 10진 연산 : 10진수 1자리를 2진수 4자리로 표현하는 방식 예> 10진수 46을 2 진화 10진 코드로 표현하면? 01000110 3. 고정소수점 – 2 진 연산의 표현 10진수 전체 값을 2진수로 변환하여 표현하는 방식 * 첫 번째 표현 범위 : -(2^(n-1) - 1) ~ 2^(n-1) - 1 // -2^(n-1) + 1 ~ 2^(n-1) - 1 4. 부동 소수점(Floating Point) 표현 - 특징 매우 큰 수 나 매우 작은 수를 표현할 때 사용 표현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음 수 표현에 필요한 자리 수에 있어 효율적임 과학이나 공학, 수학적인 응용에 주로 사용되는 수 표현 부동 소수점 수의 연산은 고정 소수점 연산에 비해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ZyefE/btqTIpUqjfJ/08KxyrIWvLVfDXio3l0yMk/img.jpg)
1. 진법 2. 10진수를 각 진수로 3. 각 진수에서 10진수로 4. 2 진수, 8 진수, 16 진수의 상호 변환 5. 보수(Complement)의 개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adA9/btqTJm4jAaS/cKAxIf76n1HXx0zCCw8f80/img.png)
1. 순서 논리회로 정의 : 외부로부터의 입력과 현재 상태에 따라 출력이 결정되는 회로 종류 : 플립플롭, 카운터, 레지스터, RAM, CPU 등 2. 플립플롭(FF, Flip-Flop)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한, 상태의 변화를 위한 신호가 발생할 때까지 현 상태를 그대로 유지 1비트(bit)를 기억하는 메모리 소자 어느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영향이 작용하여야 함 RS-FF, D-FF, JK-FF, T-FF, RST-FF, 마스터-슬레이브 FF 3. RS 플립플롭(Reset-Set FF) S와 R선의 입력을 조절하여 임의의 Bit값을 그대로 유지시키거나 무조건 0 또는 1의 값을 기억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플립플롭 4. D 플립플롭(Delay FF) RS FF의 R선에 인버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J8YbA/btqTV9hHDh5/jTS6JoCvxfKOSOhfvq3UBK/img.jpg)
1. 조합 논리회로 정의 : 이전 입력과 관계없이 현재의 입력 조합(0 또는 1)으로부터 결정되는 논리회로 종류 : 반 가산기, 전가산기, 병렬 가산기, 반 감산기, 전 감산기, 디코더, 인코더, 멀티플렉서, 연산기, 디멀티플렉서, 다수결 회로, 비교기 2. 반 가산기(Half Adder) 1bit짜리 2진수 2개를 가산한 합과 올림수를 구하는 조합 논리회로 3. 전 가산기(Full Adder) 반 가산기의 회로에 뒷자리에서 발생한 자리 올림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 회로 4. 병렬 가산기(Parallel Adder) n Bit로 2진수 A, B에 대한 덧셈을 n개의 전가산기를 이용하여 구현한 실질적 가산기 - 기출문제 예문 A: 0 1 0 1 (+5) B: 1 1 1 1 (-1) C1: 0 0 0 0 ..